[TIL] 1019 바쁨

IT/TIL(Today I Learnt)|2021. 10. 20. 10:02

Today I Learnt 

1019 : 

 

 

이번학기가 다음주면 끝이라서 숙제가 너무많다. 

오늘 처음으로  Dev team 모두다 모여서 회의를했다. 

오늘은 처음이라 그냥 기본적인 인사와 자기소개 를했고, 저번주에 자신이 한 작업들중에서 질문이있으면 질문을했다.

다른 인턴도 나와 같이 학교를다니면서 업무를 보기떄문에 ,  수업이 많은 날은 좀 업무를 적게보고 대신 다른날에 더많이한다고 들었다.

여러모로 뛰어난 분들과 처음 개발자로서 처음 시작을 하게되서 기쁘고 앞으로 많이 배우고 성장할수있으면 좋겠다.

 

 

일단 오늘 은 하루종일 미팅도있었고 , 학교과제를 하느라 어제처럼 시간을 많이 쓰진못했다.

학교 수업도 그래도 코딩이니깐,  TIL에다가 넣어야지.

 

 

이렇게 읽어도 솔직히 정확히는 모르곗는 Sateful vs stateless 

일단 은 이렇게라도 계속 읽어주면 뭔가 나중에는 정화히 알게되지않을까...

 

옛날에 엄청 잘설명해논  youtuber가잇었는데 호텔에 비유해서... 어디갔는지 다시 찾아볼려고하니깐 못찾았다.

 

  • stateless 방식은 매 요청 시마다 상태 정보를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리소스를 서버 쪽에서 소모해야 하고 상태 값 저장 기능을 위한 사전 작업이 필요하지만 caching, load balancing, scale-out에 용이합니다.

https://junshock5.tistory.com/83

 

Stateful, Stateless (웹서버 통신 방식)

Stateless 웹서버 통신(http) 특성상 사용자(브라우저)의 이전 상태 client(쿠키) or server(세션)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 접속이란 의미입니다. 브라우저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연결하고 바로 끊어버

junshock5.tistory.com

 

Twiter API :

 

 

 

https://developer.twitter.com/en/docs/twitter-api/getting-started/about-twitter-api

 

Getting Started with the Twitter API

The Twitter API can be used to programmatically retrieve and analyze data, as well as engage with the conversation on Twitter. Get started here.

developer.twitter.com

 

 

 

 

 

 

AWS람다? 

 

https://brownbears.tistory.com/428

 

[AWS] 람다(Lambda)란?

AWS람다를 찾아보면 서버리스(serverless) 라는 단어를 볼 수 있습니다. 처음 접했을 때 서버가 없는데 어떻게 요청을 받고 실행할 지 햇갈렸는데 여기서 서버리스는 내가 요청받고 처리하는 서버가

brownbears.tistory.com

https://gun0912.tistory.com/60

 

[AWS]Lambda의 시작 - 'Hello World' 출력하기

AWS Lambda의 소개 및 서버없이 Restful API서버구성을 만드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블로그부터 확인하시고 이 글을 따라오시길 권장합니다. [IT/AWS] - [AWS]서버없이 Lambda와 API Gateway로 서버API 만

gun0912.tistory.com

 

 

 

 

1. 감성분석 

2. Naver serach API 현재 는 10개만저장 =>  얼만큼 저장을 해야할까? 

        -1. 모든리스트를 계속보여주면서 user가 선택해서 저장하게해주는건어떨까?

             저장하기와 삭제하기 API가 따로있어햐할것같음

3. RSS crawler -  이건 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 지금은   URL 주소를 넣으면 거기에있는 모든  자료? 포스트를 가져오는데 어떻게 필터를해야하나?

4.  Naver datalab? 

https://developers.naver.com/products/service-api/datalab/datalab.md

 

데이터랩 - SERVICE-API

데이터랩 통합검색어 트렌드 통합검색어 트렌드는 네이버 통합검색에서 발생하는 검색어를 연령별, 성별, 기기별(PC, 모바일)로 세분화해서 조회할 수 있는 API입니다. 분석하고 싶은 주제군을

developers.naver.com

 

 

https://wooiljeong.github.io/python/naver_datalab_open_api/

 

네이버 검색어 트렌드 분석 및 시각화하기

Naver Datalab Open API

wooiljeong.github.io

 

 

https://loy124.tistory.com/375

 

naver datalap api를 활용한 data visualization 구현하기(Node.js + Vue + chart.js)

2021년 2월 25일 네이버 검색어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그에따라 나름 재미있게 실시간 검색어를 본 입장으로써 뭔가 아쉬운느낌이 들었다. 실시간 검색에 대한 대체제로 네이버에서 데이터랩 API

loy124.tistory.com

 

 

왜 data analysis 는  python이 많을까? 흠 ...

그냥 data analysis 를 위한 라이브러리가 파이썬 이 더잘돼있고 배우기 쉬워서는 아닌거같은데...

 

https://www.rtinsights.com/why-python-is-essential-for-data-analysis/

 

Why Python is Essential for Data Analysis - RTInsights

Python is the internationally acclaimed programming language to help in handling your data in a better manner for a variety of causes.

www.rtinsights.com

https://www.freecodecamp.org/news/nodejs-vs-python-choosing-the-best-technology-to-develop-back-end-of-your-web-app/

 

NodeJS vs Python: How to Choose the Best Technology to Develop Your Web App's Back End

In this article, we'll be bold and claim that one of these technologies is winning. The question is: which one is it? Let's jump on in and find out. Background and overviewNode.js and Python are among the most popular technologies for back-end development.

www.freecodecamp.org


??? 

 

https://www.nytimes.com/2021/10/11/arts/superman-comes-out.html

 

Superman Comes Out, as DC Comics Ushers In a New Man of Steel

The new Superman, the son of Clark Kent and Lois Lane, is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 does not shy away from politics and will soon begin a romantic relationship with a male friend.

www.nytimes.com

 

반응형

'IT > TIL(Today I Lear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1023  (6) 2021.10.24
[TIL] 1020  (4) 2021.10.21
[TIL] 1018 오늘도 "이게되네 ?"  (2) 2021.10.19
[TIL] 1015 똥멍청인가?  (6) 2021.10.16
[TIL] 1014 Life of software engineer  (2) 2021.10.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