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25일차 주특기 기본주차 숙제 마감,

IT/Bootcamp 항해99|2021. 7. 2. 00:14

항해 99

 

25일 차 : 

 

22일 23일 24일 차 모두 주특기 기본 주차 숙제를 하느라 따로 남기지 않았다. 

 

 

 

 

 

1) 주특기 기본주차 숙제

 

모든 사람들이 알고리즘에 늪에서 헤어나오지못하고 기다리던 주특기 주차가 시작되었다. 알고리즘 이 너무 어려워서 모두다 힘들어하고있던 시기에 우리의 손을 잡아줄꺼라 믿엇던 주특기 주차.  다른 주특기는 잘모르겠다 하지만 Node 주특기를 선택하신 많은 분들이 굉장히 불만족 하고있고, 생각 보다 기쁘지않았다.

 

금 토 일 동안 기본강의를 다듣고 월요일 부터 오늘까지 숙제를했다.

기본강의에서 스파르타의 컨셉인, " 기본은 알려주께 다른건 너가 알아서 찾아서해봐 " 를 원했던 우리들은 강의를 듣고 혼란에 빠졌다.

월요일  화요일 , 기본강의로는 도저히 숙제를 못할것같아  코드잇,  Udemy, Pluralsight 등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면서  Restful API 강의 를 찾아보면서 공부했다.

 

숙제는  CRUD를 이용하여 블로그 웹사이트를 만드는것.  CRUD를 이용한 게시판 만들기는 기초중에 기초로 알고있다. 

처음에는 생각보다 숙제가 쉬워서 마음이편했지만 직접 숙제를 시작하고보니 여러가지 막히는부분들도 많았고 , 생각보다 어려웠다.

 

 이 프로젝트에 관해서는 주말에 따로 정리해서 올려야겠다.

 

 

 

2) 특강

https://deaguowl.github.io/

 

Bu-k의 포트폴리오

신입 서버개발자 김병욱입니다.

deaguowl.github.io

 

 Q:  개발을 하다보면 "이게 왜 되지?"라는 질문을 한다.  "이게 왜 안되지?" 보다 더 답답한 질문

 

A:  먼저 현재는 기능구현에 초점을 맞추고 배워보자 

 

회사마다 선호 하는것이 다름 :  

1) 빨리 기능구현을 하는 개발자를 좋아하는 경우 

2) 한가지를 만들더라도 확장 가능성을 생각해서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

 

기획을 하고  배움과 동시에 바로 프로젝트를 하자. 

배움과 동시에, 기획서 같은 것들을 만들어보자 ->  현재 나는 하고 싶은 프로젝트만 이름만 적어 넣는 수준인데, 이 수준을 넘어서 기획서를 작성하고 해당 서비스에 필요한 것들을 적어 넣어 보자.

 

기술적으로 너무 신경 쓰지 말고 먼저 기능 구현에 초점을 맞춰서 배워보자. 적어놓은 필요한 기능들이 수업이나 공부 중에 나온다면 조금 더 집중할 수 있을 것. 

 

Q: 개발자 취업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A: 단순히 기술 스택 및 지금까지 한 프로젝트 만을 나열한 포트폴리오보다는,  나의 스토리를 만들어서  내 personality 등을 같이 해서 보여줘야 한다. 

 

"경력자는 주어진 일을 예상보다 빨리 끝내야 하고, 신입은 주어진 일을 어떻게든 끝내야 한다" 

어떻게든 필요한 기능을 구현만 하면 돼.   -신입이 한 테 꼭 필요한 부분 

 

신입한테 필요한 또 중요한 부분은 , 현재 service를 파악해야 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적인 흐름과,  로직 같은 부분에서 이해를 해야지 나에게 (신입)에게 주어진 일을 잘 처리할 수 있다.

신입에게 어차피 어려운 일들을 맞기지 않음, 어려운 부분은 그 부분을 현재 서비스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지?  

현재 서비스를 이해를 해야 적용을 잘할 수 있으니깐 , 현재 서비스를 이해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반응형

댓글()